중추신경계의 자가면역질환인 다발성 경화증(MS)은 크게 질병을 억제하기 위해 면역 체계를 조절하는 방법과 증상을 완화시키는 치료 등 두 가지 형태의 치료법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. 면역 요법이 증상의 진행을 막아낸 측면도 있지만, 아직도 환자들은 보행장애, 요실금 등 다발성 경화증의 증상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. 이번 …
침 치료는 다양한 통증에 대하여 명백한 치료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, 여전히 침 치료의 효과는 경혈에 대한 자침이 아닌, 침 치료과정의 비특이적인 효과에 기인한다는 목소리도 존재하는 것이 사실입니다. 본 연구는 여러 방법에 의한 경혈의 선정을 통해 통증경감과 무릎관절의 유연성 …
전통 한의학이론에서 침 치료의 강도는 ‘득기(得氣)’ 라고 불리는 치료 역치를 넘기 위해서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로 시행되어야 한다고 오랫동안 믿어져 왔습니다. 득기는 자침 후 수기자극을 통해 경혈 주위의 쓰림, 따끔거림, 충만감, 통증, 온감, 냉감, 둔탁함, 방산통 등의 득기감을 유도하는 것입니다. …
미국정형외과학회(AAOS)에서는 경도 또는 중등도의 손목터널증후군의 치료는 보존적 처치를 권고하고 있으며,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절되지 않는 경우에 수술을 권하고 있습니다. 실제로도 한방요양기관 외래에서는 손목터널증후군은 보존적 치료가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. 손목터널증후군의 침 치료가 효과적인지에 대한 단기 연구 RCT가 있어 소개하고자 합니다. http://www.mjmedi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5056
서구에서는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18%가 침 치료를 받아 본 적이 있으나 통년성 알레르기 비염과는 달리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(Seasonal Allergic Rhinitis, SAR)에는 명확한 근거가 확립되어 있지 않습니다. 침 치료가 Anti-histaminic 투여량,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한 삶의 질을 호전시키는지에 대한 독일에서 이뤄진 연구가 …
침 연구에서의 비교효과 연구 [(Acupuncture Research in the Era of Comparative Effectiveness Research) – Annals on Internal Medicine 2013, Editorial.]의 2013년도 Annals of internal Medicine에 게재된 Brinkhaus의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에 대한 침치료 연구에 관한 기사입니다. 논문의 저자들은 연구 결과가 통계적으로는 유의하나 …